logo_transparent_background

또 감독교체 선택한 전북, 최강희급 ‘거물’ 모셔올 수 있나


▲8일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하나은행 K리그 2024 승강 플레이오프(PO) 전북 현대와 서울 이랜드의 경기. 이날 승리로 강등을 피한 전북 선수들을 김두현 감독이 격려하고 있다.연합뉴스

강등 위기에서 간신히 기사회생하며 악몽 같은 시즌을 보낸 프로축구 전북 현대가 결국 ‘감독교체’ 를 선택했다. 전북은 16일 김두현 감독과 상호 합의로 계약을 해지한다고 발표했다.

김두현 감독과 전북의 두 번째 결별이다. 김 감독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전북에서 수석코치와 감독대행을 역임했다. 이후 단 페트레스쿠 감독이 부임하면서 전북을 떠나 중국 슈퍼리그 청두 룽청의 코치로 자리를 옮겼던 김 감독은, 올해 5월 페트레스쿠 감독의 사임으로 다시 공석이 된 전북의 정식 감독에 선임되며 1년 만에 복귀하게 됐다. 만 42세로 전북 역사상 최연소 사령탑이기도 했다.

김두현 감독은 비록 ‘초보 감독’이었지만, 이미 구단 사정에 밝은데다 지난해 감독대행 시절 나쁘지 않은 성적을 기록했기에 소방수로서 팬들의 기대가 높았다. 하지만 전북은 김 감독 부임 이후 초반에만 잠시 반짝했을 뿐 좀처럼 하위권을 벗어나지 못하며 반등의 실마리를 찾는 데 실패했다.

전북은 이미 김 감독이 부임하기 전부터 공수 밸런스가 망가져 있는 상태였다. 여기에 선수단 내 파벌 다툼과 베테랑 선수들의 음주 사건, 팬들과의 갈등 등으로 팀 분위기도 엉망이었다. 시즌 중 부임한 김 감독은 짧은 기간 안에 자신의 축구철학을 녹여내고 선수단을 장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전북은 김두현호 체제에서 7승 6무 11패, 승점 27점을 추가하는 데 그쳤다. 최종 순위는 리그 10위로 승강제 도입 이후 최초의 하위스플릿 추락과 최저 순위, 첫 승강 PO행이라는 굴욕을 피하지 못했다.

그나마 전북은 승강PO에서 K리그2 서울 이랜드를 만나 1, 2차전 합계 4-2로 승리하며 2부리그 강등이라는 최악의 상황만은 면하고 유종의 미를 거두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시즌 내내 계속된 부진 때문에 일부 전북 팬들의 팬심은 돌아선 지 오래됐다. 승강PO 승리 직후 몇몇 홈팬들은 김두현 감독을 비판하는 걸개를 내걸고 야유를 퍼부으며 냉랭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김두현 감독은 내년 시즌 반등을 강조하며 내심 계속 감독직을 이어가고 싶다는 의사를 내비쳤지만, 전북 구단은 고심 끝에 김두현 체제로서는 더 이상 어렵다는 결론을 내리고 작별을 선택했다. 이로써 김 감독은 정식 사령탑에 오른 지 불과 7개월 만에 쓸쓸하게 전북을 다시 떠나게 됐다.

‘자유의 몸’ 된 최강희? ‘강원 동화’ 주역 윤정환?

큰사진보기
▲최강희 중국 상하이 선화 감독이 2019년 12월 19일 오후 서울 마포구 한 카페에서 가진 미디어 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제 팬들의 관심은 전북이 과연 어떤 후임 감독을 선택할지에 쏠린다. K리그1 최고 명문을 자부하는 전북은 다음 시즌 우승권 전력으로 팀을 재건시킬수 있는 거물급 감독의 영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올 시즌 리더십 부재로 내부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드러낸 만큼, 전북의 화려한 선수단을 장악할 수 있는 강력한 카리스마와 풍부한 경험을 갖춘 지도자의 영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전북은 최강희 감독 이후 조세 모라이스-김상식-단 페트레스쿠-김두현 감독까지 총 4명의 사령탑이 팀을 거쳐갔다. 이중 우승을 차지하고 계약기간을 모두 채운 것은 모라이스 감독이 유일했고, 나머지 세 명은 성적 부진과 지도력에 대한 혹평 속에 불명예스럽게 물러나야 했다. 이번에는 성공 가능성이 불확실한 외국인 감독이나 초보 사령탑보다는, K리그에서 검증된 국내파 감독 영입에 무게가 실리는 이유다.

공교롭게도 ‘전북 왕조의 창시자’라고 할 만한 최강희 감독이 최근 자유의 몸이 됐다는 사실도 덩달아 주목을 받고 있다. 김 감독이 전북 사령탑에서 물러난 16일, 최 감독은 중국 슈퍼리그 산둥 타이산과 상호 합의하에 계약을 해지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최강희 감독은 2005-2011년, 2013-2018년, 두번에 걸쳐 전북의 감독을 맡으며 평범한 지방구단에 불과하던 전북을 아시아 최고 명문의 반열에 올려놓은 주인공이다. 최 감독은 ‘봉동 이장’으로 불리며 전북 팬들에게는 ‘한국의 알렉스 퍼거슨’이라고 할 정도로 절대적인 지지를 받았다.

2018년을 끝으로 전북을 떠난 이후에는 중국무대에 진출해 다롄 이팡-상하이 선화-산둥 타이산 등의 지휘봉을 잡으며 2019년 중국 FA컵 우승을 차지하는 등 여전한 지도력을 발휘했다.

최 감독이 전북에서 차지하는 여전한 위상이나 최대 장점인 선수단 장악력은, 현재의 전북이 가장 필요로 하는 사령탑의 조건에 일치한다. 최근까지 중국무대에서 감독직을 수행했기에 현장 감각도 문제도 없다. 최 감독으로서도 고향이나 다름없는 K리그와 전북으로 돌아와 지도자 경력에 유종의 미를 거둔다는 명분도 있다. 다만 60대 후반으로 어느덧 고령의 나이와 7년 간의 K리그 공백으로 국내 축구 환경이 크게 달라졌다는 사실은 약점이 될 수 있다.

‘강원 동화’의 주역인 윤정환 감독도 후보로 거론될 만하다. 윤 감독은 올 시즌 만년 중하위권팀이던 시도민구단 강원FC를 이끌고 화끈한 공격축구로 K리그1 역대 최고성적인 준우승을 달성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윤 감독은 ‘올해의 감독상’까지 수상하는 신드롬을 일으킨 바 있다. 하지만 강원FC와 연봉 인상 문제로 이견을 빚은 끝에 결별하며 현재는 자유의 몸이 된 상태다.

이밖에도 최근까지 K리그 사령탑을 지낸 베테랑 감독들의 이름이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과연 감독 문제로 몇년간 홍역을 치렀던 전북이 이번에는 팬들의 기대를 충족시킬 만한 거물급 명장을 데려올 수 있을까.

☞ 관점이 있는 스포츠 뉴스, ‘오마이스포츠’ 페이스북 바로가기




추천
댓글
스크랩
페이스북
트위터
공유





Source link

댓글 달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