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축구협회(KFA)가 “홍명보 남자 축구 대표팀 감독 선임 과정에 특혜는 없었다”고 의사결정 절차를 둘러싼 논란을 반박하고 나섰다.
축구협회는 22일 오후 공식 누리집에 ‘국가대표팀 감독 선임 과정을 설명 드립니다’라는 제목의 게시글을 올려 이렇게 설명했다.
협회는 “감독 선임과 관련한 전 과정에서 규정을 준수하고자 했다. 있는 규정은 모두 지켰다”며 “국가대표 전력강화위원장의 갑작스럽고 일방적인 사퇴, 전략강화위원 일부의 동반 사퇴 등 규정에 없는 상황들에서는 감독 선임이라는 목표를 차질 없이 이룰 수 있는지에 초점을 두고 절차를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비상 상황 등을 대비한 규정이 미비했고, 전력강화위원들에게 사전에 충분히 관련 규정을 설명하지 못해 위원회의 역할과 한계에 대한 오해를 불러일으킨 점이 아쉬웠다”면서 “협회의 세심하지 못한 업무 처리로 인해 오해를 불러일으킨 점을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축구협회는 정해성 전력강화위원장 사임 이후 이임생 기술총괄이사가 감독 후보자 최종 면담과 협상을 이어받은 데에 규정상 문제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축구협회는 이날 ‘대표팀 감독 선임 과정 관련 질의응답(Q&A)’라는 제목으로 올린 또 다른 글에서 “전력강화위의 역할은 감독 선임을 최종 승인하는 이사회의 업무를 도우려 여러 후보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사회에 후보를 추천하는 것”이라며 최종 협상과 계약 등은 위원회의 업무가 아니라고 설명했다.
이어 “10차 회의에서 최종 3명의 후보를 확정한 전력강화위원들이 정 위원장에게 남은 업무의 전권을 위임한 상황에서 정 위원장이 최종 후보 면담을 앞두고 사의를 표명한 바, 그동안 위원회에 참석해 위원장 및 위원들과 감독 면담, 검증 과정을 함께 해 온 협회 행정관계자인 이임생 기술총괄이사가 최종 면담 및 협상, 계약 진행 업무를 이어받는 데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총괄이사는 6월30일 가능한 위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회의를 열어 자신이 후속 업무를 이어가는 데 대해 동의를 받았다”라고도 했다.
외국인 감독 후보들은 대면 면담과 장문의 발표자료 제출 등을 통해 한국 대표팀에 대한 분석을 평가받은 반면, 홍명보 감독은 이런 과정을 생략한 채 ‘프리패스’로 선임된 것 아니냐는 비판에 대해서는 “홍 감독을 비롯한 국내 감독에게 발표자료 등을 확인하지 않은 건 기본적으로 전력강화위원들이 국내 감독들의 경기 스타일, 축구 철학, 경력 등을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축구협회는 “특히 홍 감독의 경우 대표팀, 올림픽 대표팀뿐 아니라 최근 4년간 프로축구 K리그1 울산 HD를 맡아 2연패를 했다”며 “국내 감독을 뽑는다면 (현직이더라도) 홍명보 감독을 뽑아야 한다는 의견이 위원회 구성 초반부터 나왔다”고 밝혔다.
정인선 기자 [email protected]